반응형

web 11

[Python] Selenium 사용법 정리

find_element 가장 많이 사용하기도 하고 크롤링 중 항상 첫 시작을 알리는 find_element() 함수 입니다. # html 태그 id 값 button = myDriver.find_element(By.ID, "button") # html 태그 class_name button = myDriver.find_element(By.CLASS_NAME, "button") # html 태그 xpath (전체 경로) button = myDriver.find_element(By.XPATH, "/html/body/div[3]/form/section/div/div[2]/div[6]/div[2]") 저는 위 3개를 가장 많이 사용합니다. 위 3가지 방법을 지금까지 소규모 크롤링 토이 프로젝트를 몇 가지 해보고 나..

Python 2023.09.18

[Gradle] 궁금한 Gradle Declaring Repositories

Repository 선언 Declaring repositories Declaring repositories When searching for a module in a repository, Gradle, by default, checks for supported metadata file formats in that repository. In a Maven repository, Gradle looks for a .pom file, in an ivy repository it looks for an ivy.xml file and in a flat directory r docs.gradle.org Gradle 빌드는 대표적으로 MavenCentral 과 Google Android 공개된 Repository에 접근..

Java 2023.08.09

WAS란 그리고 그 종류들

WAS 가 무엇인가요 ❓ DB 조회나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Application Server Web contatiner 혹은 Servlet Container라고도 불린다. Container란 jsp,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WAS 의 종류 Tomcat 주요기능 JSP/Servlet Container중 하나로 사용자에게 JSP요청을 받으면 서블릿으로 바꾸어 실행 SP 페이지를 웹서버에 요청하면 이 페이지를 해석하고 실행 Web Server에서 요청한 동적 페이지를 읽어 프로그램을 실행 그 결과를 다시 HTML로 재구성하여 Web Server에게 전달 특징 Servlet Container를 지원함 플랫폼에 제약이 없음(Windows, L..

Java 2022.06.20

순수함수란

순수함수란 동일한 인자가 들어갈 경우 항상 같은 값이 나와야 한다. 부수적인 효과가 일어나면 안 된다. return 값으로만 소통한다. 순수함수는 평가 시점이 중요하지 않다.만약 순수함수가 아니라면 동일한 인자를 넣어도 다른 값이 나오는 경우 어떠한 시점에서 함수를 평가할지가 굉장히 중요한데 순수함수는 동일한 인자를 넣으면 항상 같은 값이 나오기 때문에 굳이 평가시점을 따질 필요가 없다.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console.log(add(10, 5)); console.log(add(10, 5)); console.log(add(10, 5)); 생각 어디든 붙일 수 있는 레고형태로 만든다고 보여진다. 전역 변수나 다른 인자 값을 가지고 오지 않는 한 메서드 안에서..

Programing 2022.05.16

Notion 활용하기 기초 편

노션 첫 사용자를 위한 기초 편 여러 메모도구 혹은 정리를 도와주는 도구를 사용해왔지만 가장 좋다고 판단하고 지금까지 사용중인 도구인 Notion입니다. 노션을 사용하면서 받았던 가장 인상적인 느낌은 메모 그 자체에 굉장히 집중했다는 느낌이었습니다. 저 같은 경우 바쁠 때 내용을 빨리 메모해야하면서 어느정도 틀은(시각적인) 지키고 싶다 라는 욕구가 강했습니다. ① 마우스에 손이 갈 필요가 없다. 극단적으로 100% 마우스를 사용하지 않아도 된다는 의미는 아니지만 다른 도구들과는 월등히 높은 활용도를 보여주었습니다. 위 그림과 같이 /텍스트 로 할 수 있는 기능들이 너무 많아서 하나씩 사용해보면서 알아가는 재미도 있습니다. 필자가 생각하기에 노션을 사용하는 핵심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꼭 기능들을 사용해보..

Util 2022.03.27

JAVA 자주 까먹는 것들

자주 발생하는 예외 ArithmeticException : 정수를 0으로 나눌 때 NullPointerException : null 레퍼런스를 참조할 때 ClassCastException : 변환 할 수 없는 타입으로 객체를 변환 할 때 OutOfMemoryException : 메모리 부족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 배열의 범위를 벗어난 접근 시 IllegalArgumentException : 잘못된 인자 전달 시 IOException : 입출력 동작 실패 또는 인터럽트 시 발생 NumberFormatException : 문자열이 나타내는 숫자와 일치하지 않는 타입의 숫자로 변환 시 OverLoading 메소드 명과 인자가 같으면서 return 값만 다른 경우 컴파일 오류..

Java 2022.02.25

XML에 대해 알아보자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다목적 마크업 언어로써 다른 종류의 시스템 혹은 인터넷끼리 연결된 시스템 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탄생했다. 🎯 설계 목표 단순성 일반성 인터넷을 통한 사용 가능성 💡기본 개념 XML에서의 기본 개념에는 10가지가 있다. XML은 구조적인 데이터를 위한 것이다. XML은 다소 HTML 같이 보인다. XML은 텍스트이며, 읽히는 것만을 뜻하지 않는다. XML은 크기가 커진다. XML은 기술의 집합이다. XML은 새로운 기술이 아니라 발전한 기술이다. XML은 HTML에서 XHTML로 이끌었다. XML은 모듈식이다. XML은 RDF와 시맨틱 웹의 토대이다. XML은 라이선스 제약이 없으며, 플랫폼이 독립적이고, 많은 지원이 있다. ..

Web 2022.02.04

java 자주 발생하는 예외

자주 발생하는 예외 ArithmeticException : 정수를 0으로 나눌 때 NullPointerException : null 레퍼런스를 참조할 때 ClassCastException : 변환 할 수 없는 타입으로 객체를 변환 할 때 OutOfMemoryException : 메모리 부족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 배열의 범위를 벗어난 접근 시 IllegalArgumentException : 잘못된 인자 전달 시 IOException : 입출력 동작 실패 또는 인터럽트 시 발생 NumberFormatException : 문자열이 나타내는 숫자와 일치하지 않는 타입의 숫자로 변환 시

Java 2022.02.04

포스트맨(Postman) 환경 변수 등록

환경 변수 등록 Step 1 Postman 우측 상단에 눈 모양 아이콘을 누르시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포스트맨에서는 환경변수를 트리형식으로 관리 할 수 있게 구성했는데 Step 2 앞선 그림에서 Add를 누르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이는데 여기서 직접적인 환경 변수를 등록하게 됩니다. VARIABLE = 환경 변수로 쓸 name Type = default 와 secret 설정 두가지를 할 수 있습니다. INITAL VALUE = 팀과 같이 공유된 상황이었을 때 팀원들에게 보여질 VALUE 입니다. CURRENT VALUE = 실제 Request를 수행할 때 반영 될 VALUE 입니다. # 참고 SAVE 버튼을 눌러야 비로소 반영됩니다. Step 3 앞서 만든 {{myblog}}라는 환경..

Util 2022.01.13

로드밸런서(Load Balancer)란

Load Balancing이란? 하나의 인터넷 서비스가 발생하는 트래픽이 많을 때 여러 대의 서버가 분산처리하여 서버의 로드율 증가, 부하량, 속도저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분산처리하여 해결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쉽게 말해 Request를 나누어 맞게(?) 해주는 녀석입니다. 주요 기능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바꾸는 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조기입니다. Tunneling 인터넷상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통로를 만들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개념 데이터를 캡슐화해서 연결된 상호 간에만 캡슐화된 패킷을 구별해 캡슐화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DSR(Dynamic Source Routing protocol) 로드 밸런서 사용 시 서버에서 클라..

Web 2022.01.13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