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Programing 2

IoT-Thread Protocol 정리

📜 Thread Protocol 탄생 배경 특성 스레드 네트워크 레이어 스레드 장치 Router Leader REED(Router-Eligible End Devices) FED(Full End Devices) MED(Minimal End Devices) SDE(Sleepy End Device) SSDE(Synchronized Sleepy End Device) 블루투스 단말장치(BED) Border Router IPv6 스택 기초 스레드의 Short Address 스레드의 메쉬 토폴로지 MLE 메시지 탄생 배경 IoT 플랫폼 제조사마다 다르게 네트워크를 가지고 가기 때문에 네트워크 충돌 및 간섭 그리고 사용자 측면에서 번거로움을 줄 수 있는 요소들을 해결하기 위해 탄생했다. IPv6를 지원하며 이더넷 기반..

Programing 2022.09.01

순수함수란

순수함수란 동일한 인자가 들어갈 경우 항상 같은 값이 나와야 한다. 부수적인 효과가 일어나면 안 된다. return 값으로만 소통한다. 순수함수는 평가 시점이 중요하지 않다.만약 순수함수가 아니라면 동일한 인자를 넣어도 다른 값이 나오는 경우 어떠한 시점에서 함수를 평가할지가 굉장히 중요한데 순수함수는 동일한 인자를 넣으면 항상 같은 값이 나오기 때문에 굳이 평가시점을 따질 필요가 없다. function add(a, b) { return a + b; } console.log(add(10, 5)); console.log(add(10, 5)); console.log(add(10, 5)); 생각 어디든 붙일 수 있는 레고형태로 만든다고 보여진다. 전역 변수나 다른 인자 값을 가지고 오지 않는 한 메서드 안에서..

Programing 2022.05.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