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9

WAS란 그리고 그 종류들

WAS 가 무엇인가요 ❓ DB 조회나 로직 처리를 요구하는 동적 컨텐츠를 제공하기 위해 만들어진 Application Server Web contatiner 혹은 Servlet Container라고도 불린다. Container란 jsp, Servlet을 실행시킬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한다. 💡WAS 의 종류 Tomcat 주요기능 JSP/Servlet Container중 하나로 사용자에게 JSP요청을 받으면 서블릿으로 바꾸어 실행 SP 페이지를 웹서버에 요청하면 이 페이지를 해석하고 실행 Web Server에서 요청한 동적 페이지를 읽어 프로그램을 실행 그 결과를 다시 HTML로 재구성하여 Web Server에게 전달 특징 Servlet Container를 지원함 플랫폼에 제약이 없음(Windows, L..

Java 2022.06.20

XML에 대해 알아보자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다목적 마크업 언어로써 다른 종류의 시스템 혹은 인터넷끼리 연결된 시스템 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탄생했다. 🎯 설계 목표 단순성 일반성 인터넷을 통한 사용 가능성 💡기본 개념 XML에서의 기본 개념에는 10가지가 있다. XML은 구조적인 데이터를 위한 것이다. XML은 다소 HTML 같이 보인다. XML은 텍스트이며, 읽히는 것만을 뜻하지 않는다. XML은 크기가 커진다. XML은 기술의 집합이다. XML은 새로운 기술이 아니라 발전한 기술이다. XML은 HTML에서 XHTML로 이끌었다. XML은 모듈식이다. XML은 RDF와 시맨틱 웹의 토대이다. XML은 라이선스 제약이 없으며, 플랫폼이 독립적이고, 많은 지원이 있다. ..

Web 2022.02.04

Java Thread 기초

스레드 관리 정보 데몬 스레드 JVM이 스스로 필요에 의해 사용하는 스레드이다. 대표적인 예로 GC가 있다. 내가 작성한 스레드도 데몬 스레드로 표시하여 JVM이 인식하게 할 수도 있다. 일반 스레드가 모두 종료되면 데몬 스레드가 살아 있더라도 프로그램은 종료된다. 스레드 상태 NEW 스레드가 생성되었지만 아직 실행할 준비가 되지 않은 상태이다. start() 메소드가 호출되면 RUNNABLE 상태가 된다. RUNNABLE 스레드가 현재 실행되고 있거나 실행 준비되어 스케줄링을 기다리는 상태이다. WAITING 스레드가 어떤 Object 타입의 객체 a에 대해 a.wait()을 호출하고 무한 대기하면서 다른 스레드가 a.notify(), a.notifyAll()을 불러주기를 기다리고 있는 상태이다. 스레..

Java 2022.02.04

java 자주 발생하는 예외

자주 발생하는 예외 ArithmeticException : 정수를 0으로 나눌 때 NullPointerException : null 레퍼런스를 참조할 때 ClassCastException : 변환 할 수 없는 타입으로 객체를 변환 할 때 OutOfMemoryException : 메모리 부족 ArrayIndexOutOfBoundsException : 배열의 범위를 벗어난 접근 시 IllegalArgumentException : 잘못된 인자 전달 시 IOException : 입출력 동작 실패 또는 인터럽트 시 발생 NumberFormatException : 문자열이 나타내는 숫자와 일치하지 않는 타입의 숫자로 변환 시

Java 2022.02.04

포스트맨(Postman) 환경 변수 등록

환경 변수 등록 Step 1 Postman 우측 상단에 눈 모양 아이콘을 누르시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보입니다. 포스트맨에서는 환경변수를 트리형식으로 관리 할 수 있게 구성했는데 Step 2 앞선 그림에서 Add를 누르게 되면 위와 같은 화면이 보이는데 여기서 직접적인 환경 변수를 등록하게 됩니다. VARIABLE = 환경 변수로 쓸 name Type = default 와 secret 설정 두가지를 할 수 있습니다. INITAL VALUE = 팀과 같이 공유된 상황이었을 때 팀원들에게 보여질 VALUE 입니다. CURRENT VALUE = 실제 Request를 수행할 때 반영 될 VALUE 입니다. # 참고 SAVE 버튼을 눌러야 비로소 반영됩니다. Step 3 앞서 만든 {{myblog}}라는 환경..

Util 2022.01.13

로드밸런서(Load Balancer)란

Load Balancing이란? 하나의 인터넷 서비스가 발생하는 트래픽이 많을 때 여러 대의 서버가 분산처리하여 서버의 로드율 증가, 부하량, 속도저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분산처리하여 해결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쉽게 말해 Request를 나누어 맞게(?) 해주는 녀석입니다. 주요 기능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바꾸는 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조기입니다. Tunneling 인터넷상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통로를 만들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개념 데이터를 캡슐화해서 연결된 상호 간에만 캡슐화된 패킷을 구별해 캡슐화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DSR(Dynamic Source Routing protocol) 로드 밸런서 사용 시 서버에서 클라..

Web 2022.01.13

Java Servlet이란

자바 서블릿 💡 기본 개념 ❓ 어떻게 동작하나요? ❓ 왜 사용해야 하나요? 자바 서블릿 자바 서블릿(Java Servlet)은 자바를 사용하여 웹페이지를 동적으로 생성하는서버측 프로그램 혹은 그 사양을 말하며, 흔히 "서블릿"이라 불린다. 자바 서블릿은 웹 서버의 성능을 향상하기 위해 사용되는 자바 클래스의 일종이다.서블릿은 JSP와 비슷한 점이 있지만, JSP가 HTML 문서 안에 Java 코드를 포함하고 있는 반면, 서블릿은 자바 코드 안에 HTML을 포함하고 있다는 차이점이 있다 💡 기본 개념 클라이언트의 요청에 대해 동적으로 작동하는 웹 어플리케이션 컴포넌트 html을 사용하여 요청에 응답한다. Java Thread를 이용하여 동작한다. MVC 패턴에서 Controller로 이용된다. HTTP 프..

Java 2022.01.11

Servlet의 역사

🧐 서블릿의 역사 🔍 세부내용 💡 CGI 💡 서블릿 2.4 ~ 🪶 XML 코드 예제 🪶 DTD 코드 예제 🪶 XSD 코드 예제 💡 서블릿 3.0 ~ 💡 서블릿 4.0 ~ 💡 자카르타 서블릿 🧐 서블릿의 역사 Servlet은 Java EE의 발전과 같은 맥락으로 함께 하고 있다. JSP, Servlet은 Java EE 버전에 따라 종속 되고 하위 기술로써 그 역할을 한다. Java EE는 Java Enterprise Edition을 의미한다. Java EE에는 기업용 어플리케이션과 클라우드 어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여러가지 복합적인 기술들이 정의되고 모아져있다. www.oracle.com에서 Java EE 버전 별 기술 사양 버전을 확인할 수 있다. 서블릿API 이름 출시 일 플랫폼 중요 변경 사항 자카..

Java 2022.01.11

DBMS별 JDBC Driver

DBMS별 JDBC Driver ❓ DBMS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DataBase Management System, DBMS)은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는 별도의 소프트웨어로, DBMS를 통해 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여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를 공유하고,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한다. DBMS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틀을 제공하고, 효율적으로 데이터를 검색하고 저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또한 응용 프로그램들이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고, 장애에 대한 복구 기능, 사용자 권한에 따른 보안성 유지 기능 등을 제공한다. 즉, 데이터베이스 내의 정보를 구성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집합으로서, 자료의 중복성을 제거하고 다른 특징들 중에 무결성, 일관성, 유용성을 보장하기 위해서 자..

Java 2022.01.1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