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Web 2

XML에 대해 알아보자

XML(eXtensible Markup Language) 다목적 마크업 언어로써 다른 종류의 시스템 혹은 인터넷끼리 연결된 시스템 끼리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게 하기 위해 탄생했다. 🎯 설계 목표 단순성 일반성 인터넷을 통한 사용 가능성 💡기본 개념 XML에서의 기본 개념에는 10가지가 있다. XML은 구조적인 데이터를 위한 것이다. XML은 다소 HTML 같이 보인다. XML은 텍스트이며, 읽히는 것만을 뜻하지 않는다. XML은 크기가 커진다. XML은 기술의 집합이다. XML은 새로운 기술이 아니라 발전한 기술이다. XML은 HTML에서 XHTML로 이끌었다. XML은 모듈식이다. XML은 RDF와 시맨틱 웹의 토대이다. XML은 라이선스 제약이 없으며, 플랫폼이 독립적이고, 많은 지원이 있다. ..

Web 2022.02.04

로드밸런서(Load Balancer)란

Load Balancing이란? 하나의 인터넷 서비스가 발생하는 트래픽이 많을 때 여러 대의 서버가 분산처리하여 서버의 로드율 증가, 부하량, 속도저하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분산처리하여 해결해주는 서비스입니다. 쉽게 말해 Request를 나누어 맞게(?) 해주는 녀석입니다. 주요 기능 NAT(Network Address Translation) 사설 IP 주소를 공인 IP 주소로 바꾸는 데 사용하는 통신망의 주소 변조기입니다. Tunneling 인터넷상에서 눈에 보이지 않는 통로를 만들어 통신할 수 있게 하는 개념 데이터를 캡슐화해서 연결된 상호 간에만 캡슐화된 패킷을 구별해 캡슐화를 해제할 수 있습니다. DSR(Dynamic Source Routing protocol) 로드 밸런서 사용 시 서버에서 클라..

Web 2022.01.13
반응형